Open
Your Future.
연구팀은 배터리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급속충전이 이뤄지는 고전압 조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튬 메탈 증착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했다. 선형 카보네이트 기반 LiPF6 고농도 전해질(LPCE)을 활용해 리튬 이온의 탈용매화 에너지를 저감시켰고, 첨가제의 종류에 따른 SEI(Solid-Electrolyte Interface) 층의 형성과 그 특성도 분석했다
이기욱 교수팀은 이러한 기존 관념에서 탈피해 중둔근을 보조하는 방식을 활용해 일반인 피험자 10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위에서 보행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보행 시 나타나는 좌우 움직임 관련 몸의 부하를 로봇이 보조하는 과정에서 보행에 쓰이는 에너지 사용량이 최대 12%p 절감되는 보행 효율 개선 효과가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기화학 촉매는 산소발생반응과 수소발생반응 모두에서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보였다. 여기에 더해 AWE 시스템 분위기와 PEMWE 시스템 분위기 모두에 높은 효율과 수명을 가진다는 것도 증명됐다. 새롭게 개발된 전기화학 촉매가 이러한 장점을 갖게 된 것은 촉매가 풍부한 반응 활성 장소를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아연 원자들이 산화 루테늄의 전자
공동연구팀은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열 변색 안료와 중공입자를 활용해 필름을 만들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성공했다. 온도가 낮을 때에는 태양열을 흡수하고 중적외선 방출을 억제하는 반면, 온도가 높을 때에는 복사 냉각을 일으켜 주변보다 온도를 낮추는 새로운 필름 소재를 선보인 것이다. 외부 기후조건에 따라 능동적이고 효율적인 광학 특성을 갖도록 구조를 제어한